컴퓨터의 발전과 이해 (27) 썸네일형 리스트형 컴퓨터의 입출력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입력단계는 데이터가 처리되어 정보가 생산되기 전에 일어나는 단계이며, 정확한 입력 데이터 없이는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입력 데이터가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되기 위한 준비와, 매우 정확한 데이터만이 컴퓨터에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을 안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컴퓨터의 데이터 입력에서 들어간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으면 컴퓨터에서 나온 처리결과도 마찬가지로 믿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컴퓨터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여러 장소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데이터가 처리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되어야 하고, 전환을 위해서는 입력장치가 요구된다.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저장되고 처리된 후 다시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출력장치로.. 데이터 처리 한번 알아보자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과정은 입력, 처리, 출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처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먼저 필드, 레코드, 파일이라고 하는 논리적인 개체의 관계에 대해 알아야 한다. 여기서 필드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고 여러 개의 필드가 모여 하나의 처리 단위인 레코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레코드들이 모여 하나의 파일을 구성한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편지를 보낼 때 봉투 표면에 받는 사람의 우편번호, 주소 이름을 적는데 이것들은 각각 필드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우편번호 필드, 주소 필드 및 이름 필드가 모여 주소라는 이름의 레코드를 만들 때 이를 주소 레코드라 하고 이 레코드 안에는 3개의 필드 즉 우편번호, 주소, 이름의 필드들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레코드들이 여러 개 모.. 기억장치의 발달과정과 반도체 기억장치 여러 해에 걸쳐 컴퓨터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이 이용되어 왔고, 컴퓨터 시스템의 기억장치를 만드는 고도의 제조기술이 적용되어 왔으며, 여러 기억장치의 형태는 특수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게 발달되어 왔다. 주기억장치의 발달과정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전자부품들이 필요하다. 기억장치에서 각 비트(bit)는 0인지 1인지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많은 과학자와 설계자들이 여러 갈래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부품의 개발과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주기억장치의 구성요소는 신뢰성이 있어야 하고, 열을 많이 내지 말아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작아야 하며,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첫 번째 방법 중의 하나는 진공관을 사용하는 것인데, 이 진공관은 열을.. 주기억장치 주소와 데이터 저장 주기억장치에 대해 주기억장치는 입력된 데이터를 질서 정연하게 기억시키고 데이터가 들어 있는 기억 장소를 직접 찾아가기 위해서 바이트 단위 또는 워드 단위로 기억장치를 분할해서 주소를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다. 기억용량의 단위는 주로 바이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오늘날 사용되는 기억용량의 단위는 KB, MB, GB, TB,이며 앞으로 사용하게 될 단위는 PB가 될 것이다. 오늘날의 컴퓨터는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기억장치의 용량도 점점 대형화되고 있다. 수년 전만 해도 주기억장치 용량이 32MB~56MB 정도면 굉장히 크다고 생각했던 것이 현재 개인용 컴퓨터의 경우 보통 1GB에서 수십 GB까지도 사용되고 있으니까 말이다. 호출시간은 컴퓨터의 속도를 좌우하는데, 호출시간에 사용되는 단위로는 msec, usec,.. 데이터의 저장과 표현 데이터의 저장과 표현 현대의 컴퓨터 시스템은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기억한다. 여러 가지 방법과 전자적 구성요소를 써서 컴퓨터 시스템의 전자회로는 전자 신호인 임펄스가 있는가 없는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임펄스를 감지하는 능력이 바로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는 기초가 된다. 주기억장치 내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기본단위는 비트이고 비트는 두 가지 형태인 1(on상태) 또는 0(off상태)으로 저장되는데 전류가 흐르는지 (1), 흐르지 않는지(0)에 따라 그 상태가 결정되며, 이는 컴퓨터 하드웨어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1개의 비트는 단지 0 혹은 1의 값만을 표현할 수 있어, 단지 1개의 비트만으로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숫자, 영문자, 특수문.. 처리장치의 개요 처리장치의 개요 처리장치는 크게 나누어 중앙처리장치인 CPU와 주기억장치로 구성되고 중앙처리장치는 다시 제어장치와 산술 논리 연산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으로 데이터 처리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요소들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에서 입력, 처리, 출력은 기본적인 처리과정으로서 데이터는 처리되기 전에 입력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여져 기억된다.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데이터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처리되며, 처리된 결과 즉 정보는 출력장치로 보내져 출력된다. 데이터가 처리될 때마다 그 데이터는 먼저 주기억장치에 저장되고 제어장치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프로그램에 있는 명령어를 번역하여 산술 논리 연산장치로 하여금 처리하게 한다. 여기서 주기억장치로는 초기에 진공관.. 컴퓨터산업의 미래 컴퓨터 산업의 미래에 대해 21세기 컴퓨터 하드웨어 환경을 살펴보면 고속의 프로세서들은 수천 개 혹은 수만 개 연결한 병렬 처리기술과 광소자, 조셉슨 소자, 갈륨비소 소자 등을 이용한 메모리의 대규모 집적회로 화가 더욱 발전할 것이다. 또한 광디스크나 램디스크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의 저장능력도 더욱 향상될 것이다. 이처럼 반도체와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컴퓨터의 가격을 하락시키고 크기는 작아지지만 성능과 기능은 크게 향상되는 쪽으로 발전되고 있다. 컴퓨터의 이용도 마이크로컴퓨터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벗어나 위성이나 광통신을 이용한 초고속통신망을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쉽게 자료를 입출력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현재 일반화된 휴대전화와 노트북 PC가 결합된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