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발전과 이해

데이터 처리 한번 알아보자

캣멍 2020. 10. 7. 16:38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과정은 입력, 처리, 출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처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먼저 필드, 레코드, 파일이라고 하는 논리적인 개체의 관계에 대해 알아야 한다. 여기서 필드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고 여러 개의 필드가 모여 하나의 처리 단위인 레코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레코드들이 모여 하나의 파일을 구성한다. 예를 들자면 우리가 편지를 보낼 때 봉투 표면에 받는 사람의 우편번호, 주소 이름을 적는데 이것들은 각각 필드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우편번호 필드, 주소 필드 및 이름 필드가 모여 주소라는 이름의 레코드를 만들 때 이를 주소 레코드라 하고 이 레코드 안에는 3개의 필드 즉 우편번호, 주소, 이름의 필드들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레코드들이 여러 개 모여 하나의 집합을 형성할 때 파일이라고 하고, 주소 레코드들이 모인 파일을 주소 파일이라고 한다.

 

레코드들로 구성된 파일은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이기 위해 어떤 매체에 수록되는데 그 기록매체들의 예로서 OMR/OCR카드, 자기 테이프 및 자기 디스크 등을 사용한다. 기록매체에 수록된 이 레코드들은 처리를 위해 한 번에 하나의 레코드씩 처리장치 안에 있는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여진다.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데이터가 필드, 레코드, 파일이라는 논리적 개체로 구성된다는 것을 아는 일을 매우 중요하다.

 

데이터 입력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주기억장치에 입력되어야만 한다. 주기억장치에 입력하는 방법으론 음성이나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 있고 컴퓨터 시스템이 읽을 수 있는 매체들인 OMR, OCR, MICR 등의 카드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CD-ROM, USB 메모리 등의 전자매체나 광학매체에 수록한 후 입력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일단 데이터가 주기억장치에 기억되면 역시 주기억장치 안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제어 아래 데이터를 처리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명령어들이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컴퓨터에게 지시한다. 프로그램 내의 명령어들은 입출력 기능,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 기능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에게 지시할 수 있다.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인 각 레코드들을 처리하기 위해 이 연산들이 수행된다.

 

중앙처리장치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이런 연산들을 수행하며, 프로그램에 있는 명령어는 실제 명령을 수행하도록 중앙처리장치인 CPU에게 지시한다. 한 명령어의 실행이 끝나면 다음 명령어가 유사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결과 출력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유는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 정보는 컴퓨터의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데, 이 출력은 다양한 출력장치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출력방법으로는 프린터나 CRT 터미널을 통한 출력과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자기 테이프나 자기 디스크, 그리고 USB 메모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서 출력하여 저장해 두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출력은 항상 논리적 레코드가 컴퓨터에서 처리된 후에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입력 레코드가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여지면 프로그램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 레코드를 만드는데 이 출력 레코드는 출력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된다.